728x90 AI 논문 분석32 AI 논문 분석 : 이미지 애니메이션의 혁신 라이브포토(LivePhoto) 안녕하세요! 이번에 함께 살펴볼 주제는 이미지 애니메이션의 혁신적인 방법에 관한 논문입니다. "LivePhoto"라는 프레임워크는 이미지에 텍스트 제어를 도입하여 어떤 동작을 그림으로 표현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제시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논문에서 제시한 "LivePhoto"의 주요 연구 내용, 결과, 그리고 미래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논문 개요 및 목적 논문제목: LivePhoto: 텍스트 제어 이미지 애니메이션을 위한 혁신적인 프레임워크(Real Image Animation with Text-guided Motion Control) 논문저자: Xi Chen, Zhiheng Liu .. 2023. 12. 12. AI 논문 분석 : 캐릭터 이미지 한 장으로 애니메이션 만들기, Animate Anyone 안녕하세요. 오늘은 캐릭터의 이미지 한 장만 있으면 원하는 자세로 움직이는 애니메이션 만들 수 있는 Animate Anyone이라는 기술을 발표한 논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블로그에서는 이미지로부터 일관되고 안정적인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구현하기 위해 개발된 Animate Anyone 기술의 원리와 구조, 특징 등에 대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논문 개요 및 목적 이 논문의 개요와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논문 제목 : Animate Anyone: Consistent and Controllable Image-to-Video Synthesis for Character Animation 논문 저자 : Li Hu, Xin Gao, Peng Zhang, Ke Sun, Bang Zhang, Liefeng .. 2023. 12. 5. AI 논문 요약, '유망 신소재' 38만개 찾은 딥마인드의 AI기술 안녕하세요. 오늘은 AI분야 최신 논문을 요약해서 알아보는 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최근 구글 딥마인드가 AI로 유망 신소재 38만 개를 찾았다는 기사와 논문이 발표되었는데요. 딥마인드가 신소재를 찾은 AI기술이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로그 내용은 ChatGPT에 해당 논문 pdf를 입력해서 요약 및 해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023. 12. 1. AI 논문 분석 : 범용인공지능(AGI)의 정의와 수준, 그리고 미래 안녕하세요. 오늘은 AI관련 논문을 분석해 보는 다섯 번째 시간으로, 구글 딥마인드에서 최근 발표한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범용인공지능)의 정의를 고찰하고 달성 수준의 구분단계를 제시한 논문을 살펴보겠습니다. 논문 분석은 PrivateGPT, ChatGPT, 구글 바드 등을 활용해서 내용을 파악하고,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논문의 개요 및 목적 이 논문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논문 제목 : Levels of AGI: Operationalizing Progress on the Path to AGI. 논문 저자 : Meredith Ringel Morris1 외 Google DeepMind 논문 게재 사이트 : arXiv 논문 게재일 : 2023. 11 이 논문은.. 2023. 11. 28. AI 논문 분석 : LRM, 5초 안에 단일 이미지에서 3D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AI 분야 최신 논문을 살펴보는 네 번째 시간입니다. 요즘 생성형 AI 기술의 발전이 매우 빠른 것 같은데요. 저번 시간에 다룬 실시간 수준 스테이블 디퓨전 이미지 생성에 이어서 이번 시간에는 5초 만에 단일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만드는 LRM(Large Reconstruction Model, 대규모 재구성 모델)이라는 기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논문의 개요 이 논문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논문 제목 : LRM: LARGE RECONSTRUCTION MODEL FOR SINGLE IMAGE TO 3D 논문 저자 : Yicong Hong, Kai Zhang 외 논문 게재 사이트 : arXiv 논문 게재일 : 2023. 11 논문의 목적과 연구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약 100만개.. 2023. 11. 21. AI 논문분석 : 실시간 Stable Diffusion 이미지 생성! 체험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AI관련 최신 논문을 분석해 보는 세 번째 시간입니다. 다양한 텍스트 to 이미지 AI 도구 중에서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는 Stable Diffusion은 이미지의 품질이 우수하지만 생성속도가 느린 것이 단점이었는데요. 최근 생성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모델이 나왔다는 소식입니다 그 모델은 바로 Latent Consistency Model(이하 LCM)이라는 모델입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LCM이 어떤 기술인지 살펴보고, 어느 정도 빠른 속도인지 직접 체험해 보실 수 있습니다. 논문의 개요 이 논문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논문 제목 : LCM-LORA: A UNIVERSAL STABLE-DIFFUSION ACCELERATION MODULE 논문 저자 : Simian Luo, Y.. 2023. 11. 18.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